CTF(Conection Time Failover) VS TAF(Transparent Application Failover)
RAC 설치 시 CTF는 기본 설정 되어있습니다.
CTF :
클라이언트에서 RAC DB로 접속을 시도했으나 접속 시도한 DB의 문제로 접속이 안되는 경우
Error 발생시키고 다음 접속 시도 시 정상 Node DB로 접속 시키는 기능
TAF :
Error 발생하지 않고 다른 정상 Node DB로 바로 접속이 가능하다.
ex>
TEST_TNS =
(DESCRIPTION =
(ADDRESS_LIST =
(LOAD_BALANCE=ON)
(FAILOVER=ON)
(ADDRESS=(PROTOCOL=TCP) (HOST=node1-vip) (PORT=1521))
(ADDRESS=(PROTOCOL=TCP) (HOST=node2-vip) (PORT=1521)) )
(CONNECT_DATA=(SERVICE_NAME=orcl )(SERVER = dedicated )
(FAILOVER_MODE=(TYPE=SELECT)(METHOD=BASIC)
)
)
TYPE 파라미터 정리
1. NONE : TAF 기능 미사용
2. SESSION : 수행되고 있는 NODE가 장애 발생시 FETCH 실패
3. SELECT : 수행되고 있는 NODE가 장애 발생시 정상 NODE에서 FETCH 계속 진행
METHOD
1.BASIC : FAILOVER 필요 시 정상 NODE에 서버 프로세스를 가동 시킴
2.PRECONNECT : FAILOVER 시 정상 NODE에 미리 서버프로세스를 가동시켜 발생하는 오버헤드를 감소시킴
- Cursor : 쿼리문에 의해서 반환되는 결과값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
- Fetch : cursor 에서 원하는 결과값을 추출하는 것
'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RACLE] BIND 변수 확인 방법 (0) | 2022.06.29 |
---|---|
[ORACLE] Creating new log segment: Dumping Current Patch Information Shows Up In Alert Log At Random Times (0) | 2022.06.29 |
[ORACLE] ORA-12012: error on auto execute of job "SYS"."PMO_DEFERRED_GIDX_MAINT_JOB" (0) | 2022.06.24 |
Partition table auto drop procdure (0) | 2022.06.24 |
RMAN 을 이용한 archivelog 삭제 명령어 모음 (0) | 2022.06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