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3-05-31 00:19:29.136 [ORAROOTAGENT(130519)]CRS-8500: Oracle Clusterware ORAROOTAGENT process is starting with operating system process ID 130519
2023-05-31 00:20:00.915 [ORAAGENT(130499)]CRS-5017: The resource action "ora.DGRECO.dg start" encountered the following error:
2023-05-31 00:20:00.915+ORA-00603: ORACLE server session terminated by fatal error
ORA-27504: IPC error creating OSD context
ORA-27300: OS system dependent operation:sendmsg failed with status: 105
ORA-27301: OS failure message: No buffer space available
ORA-27302: failure occurred at: sskgxpsnd2
Process ID: 0
Session ID: 0 Serial number: 0
<솔루션>
해당 에러는 loopback adapter 의 MTU 설정이 큰 경우와 vm.min_free_kbyte 설정이 작은 경우 발생합니다.
대부분의 경우 loopback adapter 의 MTU 설정 변경으로 해결되었습니다.
( lo MTU ( lookback MTU ) 의 값이 크게 설정되어 있어 메모리를 더 많이 사용하고 또한 memory의 단편화를 가져오기도 하게 되어, lo MTU 을 적게 설정하여 network buffer 의 크기를 줄이려는 의도입니다.)
: lo mtu = 16384 설정
(해당 변경은 online 중에 가능합니단, 해당 변경이 ( Doc ID 2041723.1 ) 에 업데이트되어 있듯이 crs hang 을 유발할 수 있어 crs stop 하고 작업을 수행권고)
: vm.min_free_kbyte = 서버 전체 물리적 메모리의 0.4%
(물리적 메모리가 많은 서버에서는 매개 변수 vm.min_free_kbytes를 전체 물리적 메모리의 0.4% 순서로 설정해야 합니다. 이렇게 하면 네트워크 버퍼에 사용할 수 있는 더 넓은 범위의 조각 모음 메모리 페이지를 유지하여 버퍼 공간이 부족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.)
출처 : 오라클SR
'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RACLE] AWR 이용한 SQL PLAN 변경 확인 (0) | 2024.05.29 |
---|---|
[ORACLE] SQL PLAN 변경 확인 (0) | 2024.05.29 |
[ORACLE] ORA-08104 : this index object is being online built or rebuilt (0) | 2023.06.15 |
[ORACLE] Partition Global Index (Global 추출 쿼리) (0) | 2023.06.14 |
[ORACLE] ORA-14064 : index with unusable partition exists on unique/primary constraint key (0) | 2023.05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