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재테크

[재테크] 국민연금 개혁안, 2030이 더 내고 기성세대가 더 받는다고?

by 둥구리둥둥 2025. 7. 18.
728x90
반응형

💥 국민연금 개혁안, 2030이 더 내고 기성세대가 더 받는다고?

연금 고갈을 막기 위한 개편,
하지만 2030 청년층은 "우리는 더 내고, 덜 받는 것 아니냐"며 불만입니다.
이번 개혁이 왜 나왔고, 어떤 논란이 있는지 정리해봤습니다.


🧨 연금개혁이 뜨거운 이유: 세대 간 전쟁?

2025년, 정부와 국회는 오랜 논의 끝에 국민연금 개혁안을 통과시켰습니다.
표면적으로는 "더 내고, 더 받자"는 원칙이지만,
막상 내용을 들여다보면 불만은 2030 세대 쪽에서 더 큽니다.

왜일까요?

<세대간의 갈등>

 

 

 


🛠️ 개혁안 핵심 요약 (요약 먼저 보고 가실게요!)

항목기존개정안 (2025년 통과)
보험료율 9% 2026년부터 매년 0.5%p 인상 → 2033년 13%
소득대체율 41.5% 2026년부터 43%
출산 크레딧 둘째부터, 최대 50개월 첫째부터, 전 자녀 인정 (상한 없음)
군복무 크레딧 최대 6개월 최대 12개월
국가 지급 책임 불분명 명확히 법에 명시
기금 고갈 시점 2056년 2064년~2071년
 

📉 2030의 불만: "내가 받을 땐 고갈돼 있을 거 아니야?"

✅ 보험료는 올라가고

→ 지금 2030 세대는 월급의 9%를 내고 있지만, 곧 13%까지 내야 합니다.
(월 300만 원 급여 기준, 27만 원 → 39만 원까지 증가)

✅ 연금 수령은 늦어지고

→ 현재는 만 63세부터 받지만, 향후 점진적으로 수령 시점을 65세 이후로 미루는 방안이 논의 중입니다.

✅ 받는 금액은 줄어들 수도?

→ 소득대체율이 소폭 오르긴 했지만, 기금 상황이 불안정하면 자동 조정 기제가 도입될 가능성이 큽니다.
즉, 나중에 물가·수명에 따라 연금액이 깎일 수도 있다는 얘기죠.

👉 결국 “우리는 더 내고, 더 늦게, 덜 받는다”는 구조가 고착될까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.


🧓 반면 수령세대는?

6070대 기성세대는 보험료는 적게 냈지만, 지금은 안정적으로 연금을 받고 있습니다.
게다가 수급 개시 연령은 60
63세로, 2030보다 훨씬 유리한 조건이죠.

이에 따라 일부 2030 세대는
📢 “지금 개혁안은 결국 기성세대 연금 보존용 아니냐”는 비판
을 제기하기도 합니다.


⚖️ 정부 입장: “지금 안 바꾸면 다 무너진다”

정부는 이렇게 설명합니다.

  • 기금 소진 시점이 2056년 → 지금처럼 유지하면 청년세대는 연금을 아예 못 받게 됨
  • 그래서 보험료율을 올리고, 지급 책임을 명확히 하면서 구조를 장기적으로 안정화하겠다는 것

또한,

  • 출산 크레딧, 군복무 크레딧 확대
  • 국가의 지급 책임 명문화
    같은 신뢰 회복 장치도 함께 포함했습니다.

 

<구조적안정화>

 


🔁 그래도 남는 숙제들

① 자동조정장치 도입 여부

일본처럼 경제상황, 수명 변화에 따라 연금액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제도가 논의 중입니다.
하지만 이건 사실상 **“연금 삭감 장치”**로 여겨지며,
2030세대의 불신을 더욱 키울 수 있는 요소입니다.

② 세대 간 형평성 논의

이번 개혁은 구조적 개선이 아니라 **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조정에 그친 ‘미봉책’**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.
근본적으로는

  • 세대 간 부담 재조정
  • 복지 전체 틀 안에서 연금 위치 정립
    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도 많습니다.

💬 마무리: 나는 앞으로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?

연금 개혁은 끝이 아닙니다. 시작일 뿐입니다.
2030세대는 이번 개정안이 부담이라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지만,
그렇다고 아무런 제도 개선 없이 방치한다면
진짜로 **"받을 수 있는 사람이 없어지는 연금"**이 될 수도 있습니다.

📌 국민연금만으로는 부족합니다.
👉 퇴직연금, IRP, 개인연금, 장기투자 등 다층 노후설계를 스스로 준비해야 할 시점입니다.

728x90
반응형